본문 바로가기
재테크 재테크/주식관련정보

사이드카란? 서킷브레이커와의 차이점까지 완벽 정리!

by ouragil 2025. 4. 12.
반응형

 

👋 인삿말

안녕하세요, 블로거 ouragil입니다 😊

최근 증시가 요동치면서 뉴스에서 ‘서킷 브레이커’, ‘사이드카’라는 단어를 자주 보셨을 거예요. 지난 글에서 서킷 브레이커에 대해 알아봤다면, 오늘은 그 친구(?) 격인 사이드카에 대해 정리해볼 차례예요!

둘 다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제도지만, 적용 대상과 작동 방식이 조금 다르답니다. 그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면 뉴스 읽을 때 훨씬 똑똑해지실 거예요 😎

🏍 사이드카란?

사이드카(Sidecar)는 선물 시장에서 급격한 가격변동이 발생했을 때, 프로그램 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제도입니다.

즉, 전체 거래를 중단하는 서킷 브레이커와 달리, 특정한 자동 매매만 ‘살짝’ 멈추는 조치인 거죠.

📊 왜 ‘사이드카’라는 이름일까?

원래 사이드카는 오토바이에 옆에 붙는 보조 좌석을 말하죠. 여기서 유래된 금융 용어로, 선물(미래 가격) 시장이 현물(지금 가격) 시장을 ‘끌고 간다’는 의미에서 현물 시장의 급격한 추락을 막기 위한 보조 장치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.

⚙️ 사이드카 작동 조건 (한국 기준)

  • 코스피200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±5% 이상 변동
  • 그 상태가 1분간 지속될 경우 발동
  • 프로그램 매매 매수/매도 주문을 5분간 정지
  • 하루에 한 번만 발동 가능

📌 서킷 브레이커 vs 사이드카 차이점 정리

구분 서킷 브레이커 사이드카
도입 목적 시장 전체 과열·패닉 방지 프로그램 매매 급변동 완화
적용 대상 전체 주식시장 프로그램 매매
발동 기준 지수 -8% 이상 하락 선물지수 ±5% 이상 급변
정지 시간 20분 (최대 장 마감) 5분
발동 횟수 단계별 무제한 가능 1일 1회 한정

📚 실제 사례

  • 📌 2020년 3월: 코로나19 팬데믹 공포 → 코스피 급락 시 사이드카·서킷 브레이커 동시 발동
  • 📌 2022년: 미국 금리 인상 발표 직후 코스피200 선물 급변동으로 사이드카 발동
  • 📌 2025년 4월: 트럼프 관세 발표 여파 → 선물 시장 급락으로 사이드카 발동

💬 정리하며

서킷 브레이커는 ‘시장 전체 멈춤’, 사이드카는 ‘자동차의 옆차선 브레이크’ 같은 느낌이에요 🚦 두 제도는 주식 시장의 급격한 움직임을 완화시켜 투자자들에게 숨 돌릴 시간을 주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.

이제 뉴스를 보다 “서킷 브레이커는 전체 멈춤! 사이드카는 프로그램 매매 정지!”라고 명쾌하게 구분하실 수 있겠죠? 😄

🔗 관련 포스팅 연결

👉 이전 글 보기: 1987년 블랙 먼데이 집중 분석: 역사 속 주식 대폭락과 현재의 데자뷔

👉 이전 글 보기: 블랙 먼데이 vs 금융위기,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?

👉 이전 글 보기: 서킷 브레이커란? 주식시장 패닉을 멈추는 안전장치!